기사 메일전송
국립목포대 문화와자연유산연구소, 18일 전남도의회에서 ‘전남무형유산 정책토론회’ 개최
  • 기사등록 2024-07-16 13:35:20
  • 수정 2024-07-16 13:38:18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국립목포대학교(총장 송하철) 문화와자연유산연구소는 오는 7월 18일(목) 오후 3시 전라남도의회초의실에서 전남의 무형유산을 연구하고 정책을 집행하는 기관 담당자들과 함께 전라남도 무형유산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정책토론회 제목은 “국가유산체제에 대응하는 전라남도 무형유산 정책토론회”으로 전남의 무형유산정책 현황을 살피고, 2024년부터 바뀌는 국가유산체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향을 논의한다.

 

전남은 광주와 전북을 아우르며 공간적으로 ‘남도’를 대표하고, 문화적으로 ‘예향’을 상징해 왔다. 그 예향의 정체성은 현재의 무형유산(무형문화재)이라 할 수 있는 판소리, 민요, 서예, 공예, 전통춤, 농악, 강강술래, 아리랑 등의 예술적 유산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국가의 수도가 있었던 서울, 경주, 부여에 국보와 보물 등의 유형유산이 많다면, 국가의 곡창지대이자 민속예술의 중심지였던 남도는 무형유산이 상대적으로 발달하였고, 이러한 무형유산이 ‘남도 예향’의 정체성을 형성한 것이다.

 

현재 전남의 무형유산 전승현황과 정책은 모두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다.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된 후 1999년까지 전남은 무형문화재 지정과 보호에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으나, 2000년 이후 타 시‧도 지자체에 비해 뒤떨어지면서 무형유산의 낙후지역으로 변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무형유산 지정의 경우 2000년 이후 전북은 22건에서 87건으로 4배 정도 증가하는데 반해, 전라남도는 32건에서 67건으로 2배 정도 증가하는 데 그쳤다. 증가율뿐만 아니라 절대적인 신규 지정 건수도 적은 편이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타 시도의 경우 문화유산과가 독자적으로 존재하는데 전남은 문화자원과에서 자원의 개념으로 문화유산을 대함으로 인해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 정책과 직결되지 않는다. 그래서 2016년 국회에서 무형유산법을 제정하고 모든 시도에서 무형유산조례를 제정했음에도 전남은 2024년 현재까지 이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외에도 타 시도의 경우 무형유산을 담당하는 기관이나 센터가 존재하여 기획, 발굴, 보호, 관리, 활용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는데, 전남은 이에 비견되는 기관이 부재하다.

 

이제 2024년부터 국가의 유산체계가 크게 변하여 문화유산, 무형유산, 자연유산으로 정립되고, 기존의 문화재청도 국가유산청으로 변경되었다.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체제에 대응하기 위해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전남의 무형유산 정책도 획기적인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전남 무형유산 정책토론회에서는 전남 무형유산 정책의 발전방안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재태 전라남도의회 부의장이 좌장을 맡고, 국립목포대 오창현 교수가 ‘유네스코 및 국가유산체제의 무형유산 정책 방향’이라는 주제로 발제를 하고, 송기태 교수가 ‘전라남도 무형유산 정책 현황과 진흥 방향’이라는 주제로 발제한다. 이에 대해 박종오(남도민속학회장), 최명림(국립민속박물관 연구관), 서해숙(전라남도 무형유산위원회 위원), 윤수경(국가유산청 전승지원과), 김지호(전라남도 무화자원과 과장) 등이 토론에 참여한다.


첨부 : “국가유산체제에 대응하는 전라남도 무형유산 정책토론회” 포스터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8051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포토] '질서정연하게'…입장하는 8만 성도들
  •  기사 이미지 [포토] 청주교회 앞 열 맞춰있는 ‘8만’ 성도들
  •  기사 이미지 서구, 제26회 서창 만드리 풍년제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