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인터넷신문]올해 정부가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예산을 역대 최대규모인 6조 2,629억 원으로 확정하며 글로벌 중추국가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다할 것을 선포한 가운데, 전남 또한 국정 기조에 발맞춰 ODA 사업 추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글로벌 도약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 정부와 공공기관이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과 사회복지 증진을 위해 제공하는 원조를 뜻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개발원조위원회에서는 개발원조와 기술협력, 기타 공적자금, 수출신용, 민간투자 등을 포함함.
전남연구원(원장 직무대행 장헌범)은 29일 「JNI 이슈리포트」 ‘글로벌 도약을 위한 전라남도 ODA 활성화 방향’을 발간해, 각 지방자치단체의 관련 사업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전남의 ODA 역량 강화를 위한 대응방향을 제시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지방자치단체의 ODA 사업 예산은 74억 7천만 원으로 전년 대비 23% 증가했으며, 최근에는 민관협력형 사업과 연수사업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는 등 사업 형태와 추진 목적이 다양해지고 있어 지금이 ODA 사업의 다각화·활성화를 위한 적기라고 설명했다.
경북도가 관련 조례를 토대로 (재)새마을재단을 설립하여 ODA 사업 예산을 확보하고, 부산시가 올해 3월 「제1차 부산광역시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을 수립해 ODA 사업의 중장기적 기반을 마련하는 등 전남에서도 다양하고 체계적인 ODA 사업 추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 조성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더불어 전남은 기업, 지자체 공무원, 공공기관 임직원 등을 대상으로 ODA 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과 전문가 컨설팅 등을 제공해 사업 추진 역량을 강화하여, ODA 사업을 단순 원조사업이 아닌 지역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전략적 포석이자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전남연구원 이슬아 전임연구원과 최훈도 부연구위원은 “우선적으로 「전라남도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을 수립해 ODA 사업의 제도적 기반 조성과 추진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전남도 국제협력관실 내 컨트롤타워를 구축하고, 해외사무소, 지역대학 및 전남연구원 글로벌정책센터 등 도내 각 분야의 전문인력을 활용해 ODA 사업효과와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것”을 주문했다.
끝으로 연구진은 “ODA 사업 추진거점인 ‘전남국제교류센터’를 설립해 ODA 사업의 내실화를 도모하고 중앙-지방-민간단체 간 연계협력도 추진해야 한다”면서, “전남의 특장점을 기반으로 ODA 사업을 활성화함으로써 국제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등 전남의 글로컬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