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치유농업과 재미농업의 수익 모델 - 농업 칼럼니스트 농학박사 허북구
  • 기사등록 2023-10-26 07:48:57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 농업이 세분화되고 있다. 세분화되고 있는 농업의 배경에는 기존 생산 중심 농업의 한계, 소비문화 변화와 수요의 다양화 등 공급자와 수요자 모두의 필요성에 의해서이다. 사회적 공헌 농업, 치유농업, 수직농업, 스마트팜 등이 그러한 사례이다.

 

새롭게 등장한 농업 중 생산이 아닌 소비자 참여형 농업들은 농업의 다원적 가치 실현과 농업을 매개로 한 소비자들의 행복이라는 관점에서 필요도가 높으나 치유농업처럼 공급 주체의 수익 모델이 불명확한 것들이 많다.

 

치유농업에서 치유(治癒)는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 또는 그것을 주는 능력을 가진 존재의 속성이다. 치료랑 비슷한 의미로, 병을 치료하다는 뜻도 있으나, 치료는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준다는 의미는 없다. 농업은 토지를 이용하여 인간에게 유용한 동식물을 길러 생산물을 얻어내는 활동이다.

 

그러므로 치유농업은 농업을 매개로 해서 실리적 안정감 등 치유하는 것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가능한데, 농업은 수단이며, 치유는 목적이 되는 것이다. 농업이 갖는 치유 효과는 과거부터 많이 알려져 있고, 과학적인 연구도 많이 되어 있으므로 치유농업의 효과를 부정하는 사람은 거의 없고, 필요도는 더욱더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치유의 종류와 양의 정량화 그리고 정량화된 자료를 금전적 가치로 환산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또한 설사 금전적 가치로 환산이 된다고 해도 그것을 돈으로 지급해야 하는 수요자들의 절실성, 필요도 및 이해도가 낮고, 시스템화가 되어 있지 않다. 공급자 입장에서도 생산성이 기존의 농작물 재배나 가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지 않다는 점이다.

 

치유농업은 치유 목적을 해결해야 달성이 되는데, 참가자들이 위와 같이 농작물의 생산물에 해당되는 치유라는 목적(결과물)의 절실성이 낮고, 정량화나 돈으로 바꿀 수 있는 가치 및 방법이 쉽지 않아 생산성이 우수한 비즈니스 모델로 만들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치유농업의 확산에 장애가 되고 있다.

 

참가자들에게 치유라는 목적 대신 재미를 목적으로 대입하면 참가자들의 폭이 넓어지고, 목적 달성이 쉬워진다. 재미삼아 텃밭을 일구고, 난초를 키우고, 분재나 야생화 분경 등을 만들고 있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재미삼아 농업에 참가하는 사람들에게 장애가 되는 것은 목적보다는 농업에 관한 지식, 재배장소와 시설, 관리 방안 등이다. 이것들은 정량화가 가능하고, 금전적 가치의 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비용 지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해도가 높고 거부감이 적은 편이다. 

 

따라서 재미 농업 공급자들은 참가자들에게 장애가 되는 것을 해소하는 것 자체가 수익 모델이 될 수 있고, 재미 농업의 발전에 동력이 될 수가 있다.

 

가령, 200평 정도의 연동 하우스를 가진 다육식물 재배 농가가 재미농업을 한다고 했을 때 100평은 참가자들에게 1평씩 임대공간으로 활용하고, 100평은 재료를 놓는 곳, 공동 작업장, 사무실, 모델로 만든 다육식물 화분의 진열, 종묘와 판매용 다육식물의 진열 공간으로 활용하면서 참여자들을 지원할 수가 있다.

 

참여자 100명에게 1평에 월 6만원 씩 받고 임대를 하게 되면 공급자는 월 600만원의 고정 조수입이 발생된다. 공급 농가는 이것으로 인건비, 냉난방비, 관리비 등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참가자들에게 자재 등을 판매해서 일부 수입을 올릴 수가 있다.

 

참가자들은 월 6만을 지불하고 이 하우스를 방문해서 기술지도를 받고, 자신만의 스타일로 분경을 만들고, 키우면서 재미 농업을 실현할 수가 있다. 그리고 농원 사무실에 리본 글씨 프린트기가 있다면 자신이 가꾼 것에 축하 리본 등을 붙여서 친지나 지인의 축하 행사에 선물로 보내면 보람도 있고, 임대비용을 환원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재미 농업은 이처럼 참여자들의 애로점을 해소해 주면서도 재미 농업 공급자의 수익 모델 정착이 가능하고, 발전 가능성이 높은 농업이 될 수가 있다.

 

[참고자료]

허북구. 2023. 재미농업, 거점 농가 육성해야 할 때이다. 전남인터넷신문 농업칼럼(2023-10-26).

허북구. 2023. 전남식 재미농업 모델 만들어야. 전남인터넷신문 농업칼럼(2023-10-24).

허북구. 2021. 전남 도시농업과 재미농업. 전남인터넷신문 농업칼럼(2021-03-17).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6018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지리산 노고단에 핀 진달래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연둣빛 계단식 차밭에서 곡우 맞아 햇차 수확 ‘한창’
  •  기사 이미지 강진 백련사, 동백꽃 후두둑~
전남오픈마켓 메인 왼쪽 2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