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119기고] 올여름 벌 쏘임 사고 주의합시다 ! - 여수소방서 평여119안전센터 김세진
  • 기사등록 2023-08-17 08:38:19
기사수정

기상청이 예보함에 따라 예년에 비해 올해 여름이 더욱 무더울 것으로 보아, 말벌 개체군 또한 급격하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3년간 벌 쏘임 사고 평균을 보면, 6월 367건에서 7월 1,224건으로 3.3배 증가하였으며, 78.8%가 7월~9월 사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말벌은 손톱 또는 손가락 크기의 벌이지만, 독성은 치명적일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벌 쏘임을 예방하려면

▲강한 향이 나는 향수, 화장품, 스프레이 종류 자제

▲소매가 긴 옷을 입어 팔다리 노출 최소화

▲벌집 발견 시, 자세를 낮춰 천천히 다른 장소로 이동

▲벌집 접촉 시, 머리부위를 감싸고 신속하게 20m이상 이탈

▲벌은 단 성분을 좋아하기 때문에 탄산음료나 달콤한 음료 자제 등이 있다.

  

예방을 함에도 불구하고, 불가피하게 벌에 쏘이게 됐을 경우에는 어떻게 대처해야할까?

  

말벌이나 벌독 알레르기 증상으로는 속이 메스껍고 울렁거림, 구토, 설사, 어지러움, 전신 두드러기, 쏘인부분이 심하게 부어오르면서 호흡곤란이 온다.

심한 경우에는 알레르기로 인한 과민성 쇼크가 발생할 수도 있다.

  

벌에 쏘인 경우에는 추가적인 벌 쏘임을 막기 위해 일단 안전한 장소로 환자를 이동시킨 뒤 가능한 한 빨리 벌침을 제거해야 한다.


쏘인 부위는 감염방지를 위해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얼음주머니 등으로 환부에 대면 통증과 부종을 줄일 수 있다. 얼음찜질을 해준 뒤에는 진통소염제나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르고 안정을 취해야 한다. 벌에 쏘인 부위는 심장보다 낮게 둬야 독소가 심장까지 퍼지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

  

위의 내용과 같이 적절한 예방법과 대처법이 있지만, 말벌의 독성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강하기 때문에 최대한 신속하게 119신고 후 병원치료를 받아야 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5512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장흥 하늘빛수목정원 ‘형형색색’ 튤립꽃 활짝
  •  기사 이미지 보성군, 5월 3일부터 5일까지 제21회 일림산 철쭉문화행사 개최
  •  기사 이미지 봄바람 따라 가족과 걷고 싶은 길, 벚꽃으로 물든 보성군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