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다수 고령층은 은퇴 후 편안한 노후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생존을 위해 힘든 몸을 이끌고 끊임없이 일하고 있다.
지난해 55~64세가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나이는 평균 49.3세였지만 노동시장에서 퇴장하는 실질 은퇴 나이는 72.3세이다.
글로벌 컨설팅기업 머서가 발표한 ‘2022 글로벌 연금지수' 평가에 따르면 한국은 C등급(51.1점)을 받아 조사 대상 44개국 중 38위에 그쳤다.
특히 연금액의 적정성과 정부 지원, 연금 자산 성장 등을 평가한 적합성 항목(40.1점)은 42위였다.
머서는 한국 15~64세 연령층의 노인 부양 부담률은 2052년 77%까지 치솟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노인 인구 의존도 부문에서 0점을 줬다.
한국은 1층 국민연금, 2층 퇴직연금, 3층 개인연금으로 이어지는 3층 연금 구조를 갖췄지만,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금 도입 시기가 늦고 금액도 적어 노후 생활 보장에 충분하지 않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해 55~79세 인구 가운데 공적․사적 연금을 받은 사람은 49.4%에 불과했고 월평균 수령액도 69만원에 그쳤다. 부부 2명을 기준으로는 138만 원으로, 은퇴 이후 적정 생활비로 조사된 314만 원의 44%에 그쳤다.
부동산에 쏠려 있는 재산 구조와 노후에 급증하는 의료비도 한국 고령층의 노후를 위협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가계 자산 중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 비중은 64.4%나 된다. 미국(28.5%), 일본(37.0%) 등과 비교해 압도적으로 높다.
특히 고령층 자산의 79~81%가 부동산에 쏠려 있다. 집은 있는데 현금이 부족한 은퇴 세대는 주택연금 등을 통해 부동산을 현금화할 필요가 있다.
국가적 차원의 대책이 절실하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