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인터넷신문/유길남 기자]전라남도는 광복회 전남도지부(지부장 송인정)와 함께 11일 무안 항일독립운동기념탑에서 ‘제104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기념식’을 개최하고 민주공화국으로 시작한 대한민국의 뿌리와 선열의 정신을 되새겼다.
‘독립한 민주국의 자유민’을 주제로 광복회 전남도지부가 주관해 열린 이날 기념식에는 박창환 전남도 정무부지사, 박경미 전남서부보훈지청장, 보훈단체장, 광복회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기념식은 국민의례, 임시헌장 선포문 낭독, 약사 보고, 기념사, 만세 삼창 순서로 진행됐다. 특히 목포영화중학교 학생 2명이 1919년 4월 11일 공포된 임시정부의 첫 헌법 ‘대한민국 임시헌장’의 선포문 및 10개 조항을 낭독해 더욱 특별한 기념식이 됐다.
박창환 부지사는 기념사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대한 독립 정당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항일 무장투쟁을 활발하게 전개하며 광복하기까지 독립운동의 든든한 구심점 역할을 했다”면서 “전남은 임시정부의 자주 독립정신을 되살려 ‘세계로 웅비하는 생명의 땅 으뜸 전남’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광복회 송인정 지부장은 약사보고를 통해 “임시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통찰하고, 기념식을 계기로 우리 모두는 임정선열들의 숭고한 독립정신과 좌우통합 정신을 이어받아 겨레의 숙원인 한반도에 항구적인 평화를 정착시키고, 전 세계인들과 동북아의 번영을 함께 누리는 ‘새로운 한반도 통일시대’를 위해 힘써 나가야 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전남도는 독립유공자 명예 회복을 위해 전국 최초로 독립운동 미 서훈자를 직접 발굴하고 있다. 1차로 80명을 서훈 신청해 지금까지 16명이 추서를 받았다. 2차로 1895년 한말 의병부터 1945년 해방된 날까지 전 기간에 걸쳐 독립운동 미 서훈자 발굴을 하고 있다.
정부는 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받아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굳건히 하고 민족 자존 의식을 확립하기 위해 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한 4월 11일을 기념일로 제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