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인터넷신문]더불어민주당 김승남 의원(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이 11일 “농촌경제연구원이 쌀 생산량 예측할 때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을 부풀려 2030년 쌀 생산량 예측치를 28만 6천 톤이나 부풀렸다”며 “쌀값 정상화법이 시행되면, 2030년 쌀 초과 공급량이 63만 톤을 넘어설 것이라는 정부여당의 주장은 명백한 거짓말이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은 쌀값 정상화와 농가소득 보장을 위한 ‘쌀값 정상화법이 시행되면, 2030년 쌀 초과 공급량이 63만 톤에 이르고, 이를 매입하는 데 1조 4,000억 원의 재정이 소요된다’는 농촌경제연구원의 분석을 토대로 지난 4일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에 김승남 의원이 농촌경제연구원 ‘양곡관리법 개정안 효과 분석’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촌경제연구원은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이 2023년 533kg에서 2030년 553kg으로 급증할 것이라 전망했으나, 2010년 이후 평년단수는 512kg에 불과했다.
즉, 농촌경제연구원이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을 평년단수보다 41kg나 부풀린 것이다.
특히 농촌경제연구원은 향후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이 평균 541kg/10a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1980년 이후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이 541kg/10a를 넘어선 것은 2015년 단 1번 밖에 없었다.
한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이 2017년 발표한 ‘2015년 쌀 풍년 발생 조건에 대한 기상학적 분석’에 따르면, 2015년과 2016년처럼 대풍년이 연속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은 2.9%에 불과하다. 따라서 농촌경제연구원이 예상한 것처럼, 향후 8년간 기록적인 대풍년이 연속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0%에 가깝다.
이에 김승남 의원이 2010년 이후 평년단수인 512kg/10a를 기준으로 농촌경제연구원이 예측한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쌀 재배면적에 따른 쌀 생산량을 재분석한 결과 2030년 쌀 생산량은 약 357만 톤으로 농촌경제연구원이 예상한 385만 5,000톤보다 약 28만 6,000톤이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이에 대해 ‘쌀 품종 개량에 따른 고단수 품종의 재배면적이 확대될 것을 전제로 한 것’이라고 해명했으나, 윤석열 정부가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이 높다는 이유로 신동진, 새일미 등에 대한 공공비축미 매입 중단을 발표한 것을 고려할 때 농촌경제연구원의 분석이 앞뒤가 안 맞는 분석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김승남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국민 66.5%가 찬성하는 쌀값 정상화법을 쌀 생산량 예측 모델까지 왜곡하며 쌀 생산량을 부풀린 이유가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면서 “이처럼 왜곡된 분석을 한 농촌경제연구원과 분석이 현실을 왜곡한 것을 방관하고, 이를 토대로 윤석열 대통령에게 거부권 행사를 건의한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며 강력하게 비판했다.
<표> 농촌경제연구원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 및 평년단수 반영 시 쌀 생산량 비교
구분 | 23년 | 24년 | 25년 | 26년 | 27년 | 28년 | 29년 | 30년 | |
농촌경제 연구원 추정 | 쌀 재배면적(ha) | 690 | 702 | 705 | 705 | 705 | 703 | 700 | 697 |
단위 면적당 쌀 생산량(kg/10a) | 533 | 535 | 538 | 542 | 544 | 547 | 550 | 553 | |
쌀 생산량(천톤) | 3,677 | 3,759 | 3,794 | 3,818 | 3,835 | 3,844 | 3,849 | 3,855 | |
평년단수 (512kg/10a) 반영 시 | 쌀 생산량(천톤) | 3,533 | 3,594 | 3,610 | 3,610 | 3,610 | 3,599 | 3,584 | 3,569 |
쌀 생산량 차이 (천톤) | 144 | 165 | 184 | 208 | 225 | 245 | 265 | 286 |
붙임 1 |
| 연도별 쌀 재배면적 및 쌀 생산량 (단위 : ha, kg, 천톤, %) |
연도 | 재배면적 |
| 생산량 |
| 10a당 생산량 |
|
전년대비 | 전년대비 | 전년대비 | ||||
1991년 | 1,208,455 | -2.9 | 538.4 | -4.0 | 446 | -1.1 |
1992년 | 1,156,885 | -4.3 | 533.1 | -1.0 | 461 | 3.4 |
1993년 | 1,135,812 | -1.8 | 475.0 | -10.9 | 418 | -9.3 |
1994년 | 1,102,608 | -2.9 | 506.0 | 6.5 | 459 | 9.8 |
1995년 | 1,055,868 | -4.2 | 469.5 | -7.2 | 445 | -3.1 |
1996년 | 1,049,556 | -0.6 | 532.3 | 13.4 | 507 | 13.9 |
1997년 | 1,052,395 | 0.3 | 545.0 | 2.4 | 518 | 2.2 |
1998년 | 1,058,927 | 0.6 | 509.7 | -6.5 | 482 | -6.9 |
1999년 | 1,066,203 | 0.7 | 526.3 | 3.3 | 495 | 2.7 |
2000년 | 1,072,363 | 0.6 | 529.1 | 0.5 | 497 | 0.4 |
2001년 | 1,083,125 | 1.0 | 551.5 | 4.2 | 516 | 3.8 |
2002년 | 1,053,186 | -2.8 | 492.7 | -10.7 | 471 | -8.7 |
2003년 | 1,016,030 | -3.5 | 445.1 | -9.7 | 441 | -6.4 |
2004년 | 1,001,159 | -1.5 | 5,000 | 12.3 | 504 | 14.3 |
2005년 | 979,717 | -2.1 | 4,768 | -4.6 | 490 | -2.8 |
2006년 | 955,229 | -2.5 | 4,680 | -1.9 | 493 | 0.6 |
2007년 | 950,250 | -0.5 | 4,408 | -5.8 | 466 | -5.5 |
2008년 | 935,766 | -1.5 | 4,843 | 9.9 | 520 | 11.6 |
2009년 | 924,471 | -1.2 | 4,916 | 1.5 | 534 | 2.6 |
2010년 | 892,074 | -3.5 | 4,295 | -12.6 | 483 | -9.5 |
2011년 | 853,823 | -4.3 | 4,224 | -1.7 | 496 | 2.6 |
2012년 | 849,172 | -0.5 | 4,006 | -5.2 | 473 | -4.6 |
2013년 | 832,625 | -1.9 | 4,230 | 5.6 | 508 | 7.6 |
2014년 | 815,506 | -2.1 | 4,241 | 0.3 | 520 | 2.3 |
2015년 | 799,344 | -2.0 | 4,327 | 2.0 | 542 | 4.1 |
2016년 | 778,734 | -2.6 | 4,197 | -3.0 | 539 | -0.5 |
2017년 | 754,713 | -3.1 | 3,972 | -5.4 | 527 | -2.4 |
2018년 | 737,673 | -2.3 | 3,868 | -2.6 | 524 | -0.4 |
2019년 | 729,814 | -1.1 | 3,744 | -3.2 | 513 | -2.2 |
2020년 | 726,432 | -0.5 | 3,507 | -6.4 | 483 | -5.9 |
2021년 | 732,477 | 0.8 | 3,882 | 10.7 | 530 | 9.8 |
2022년 | 727,054 | -0.7 | 3,764 | -3.0 | 518 | -2.3 |
1991년 이후 평균 10a당 생산량 | 494 |
| ||||
2010년 이후 평균 10a당 생산량 | 512 |
|
※ 농촌경제연구원이 추정한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이 10a당 531kg를 넘어선 것은 1991년 이후 2009년, 2015년, 2016년 등 역사상 단 3번에 불과함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48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