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선미 국회의원[전남인터넷신문/김동국 기자]은행으로부터 전세자금을 빌린 차주 중 61%가 2030 세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빌린 전세자금대출의 잔액은 올해 4월 말 기준 96조 3,673억 원에 달했다.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국회의원(서울 강동갑・기획재정위원회)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은행권 전세자금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세자금대출을 보유한 2030 차주는 81만 6,353명에 달했다.
전체 연령대의 전세자금대출 차주인 133만 5,090명의 61.1%에 달하는 규모다.
이와 함께 전세자금대출 잔액 역시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말 2030이 빌린 전세자금대출의 잔액은 94조 1,757억 원이었다.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72%(39조 4,376억 원) 커진 규모다.
올해 들어서도 증가세는 이어지는 모양새다. 올해 4개월 만에 2.3%(2조 1,915억 원)가 불어나 96조 3,672억 원을 기록했다.
<은행권 전세자금대출 현황>
(단위: 명, 억 원)
차주 수 | ‘19.12. | ‘20.12. | ‘21.12. | ‘22.4. | |
전체 연령대 | 924,714 | 1,144,366 | 1,304,991 | 1,335,090 | |
| 20대 | 160,815 | 242,370 | 294,892 | 297,310 |
| 30대 | 361,221 | 440,432 | 503,688 | 519,043 |
| 2030 합계 | 522,036 | 682,802 | 798,580 | 816,353 |
잔액 | ‘19.12. | ‘20.12. | ‘21.12. | ‘22.4. | |
전체 연령대 | 987,315 | 1,323,101 | 1,620,119 | 1,670,510 | |
| 20대 | 137,136 | 215,021 | 270,505 | 271,218 |
| 30대 | 410,245 | 546,766 | 671,252 | 692,454 |
| 2030 합계 | 547,381 | 761,787 | 941,757 | 963,672 |
* 출처: 금융감독원, 진선미 의원실 재가공
* 대상 은행: 국민, 신한, 우리, 하나, sc 제일, 씨티, 대구, 부산, 광주, 제주, 전북, 경남, 기업, 농협, 수협, 케이, 카카오
전세자금대출의 실수요는 여전한 가운데, 전세자금대출의 지표금리인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급증하며 전세자금대출의 이자 부담 역시 커지고 있다.
실제 2022년 6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2.38%로 지난달 대비 0.4% 증가했다. 지난해 6월 0.92%였던 것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진선미 국회의원은 “전세자금대출의 금리가 폭등해, 이자 부담의 증가 등 금융취약계층 주거환경 악화로 이어지는 것이 우려되는 상황이다”며 “주거는 국민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만큼, 실수요자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쳐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