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육군훈련소, 청력 이상에 따른 병원 진료 건수 3년 6개월간 165건 달해 - 육군서 워리어플랫폼 장비로 보급 나선 청력보호용 헤드셋, - 사격 훈련 참여하는 교육생들도 활용 가능하도록 보급 확대해야!
  • 기사등록 2021-10-13 13:28:23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김동국 기자]현재 장병들이 입대 직후 처음 사격 훈련을 경험하는 육군훈련소나 육군 각 부대의 사격장에는 훈련 시 개인별로 지급되는 이어플러그 외에 장병들의 청력을 보호할 마땅한 장비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특전사나 일부 전방 보병대대에 병사들의 청력보호를 위해 보급하고 있는 워리어플랫폼 청력보호 헤드셋과 같은 보호장비를 일반 군 사격장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국방위원회 민홍철 위원장(더불어민주당.경남 김해갑)이 육군훈련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3년 6개월 동안 훈련 도중 청력 이상을 호소한 인원들에 대한 진료 건수가 총 165건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군 입대 이후 청력에 문제가 생기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가장 빈번한 원인 중 하나는 바로 ‘사격 시 발생하는 소음’이다. 실제로 현재 사격 간 발생하는 소음은 약 100~170db 사이로 그대로 노출될 경우 청력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수준이다.

 

육군에서는 얼마 전부터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특전사나 일부 보병부대에 워리어플랫폼 장비 중 하나로 청력보호용 헤드셋과 이어셋을 보급하고 있으나, 군 내 사격장의 청력보호용 장비 도입은 아직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홍철 국방위원장은 “현재 육군이 워리어플랫폼 장비로 보급하는 청력보호 헤드셋의 도입 목적이 장병들의 청력보호라면 해당 장비가 군의 사격훈련장에 도입되지 못할 이유는 없다”면서 “육군에서는 현재 특전사나 전방부대에만 보급되고 있는 청력보호용 장비를 일반 군 사격장에도 보급해 훈련 간 모든 장병들의 청력보호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2018~2021.6 기준 육군훈련소 지구병원 청력 이상 발생 인원 진료 현황

 

구분

‘18년

‘19년

‘20년

‘21.6

총계

건수

78

43

24

20

165

* 국방의료통합정보체계 내 [H83.3, H90.2, H90.3, H90.5, H91.2, H91.8, H91.9, H93.2 하위코드 포함] 진단코드로 자료산출함.

** 동일인의 반복진료에 의한 진료건수 등 중복 가능성 있음.

*** 훈련 간 소음 발생으로 인한 진료여부는 확인이 제한됨.

자료 : 육군본부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1200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김산 무안군수,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현장 점검
  •  기사 이미지 서구, 찾아가는 통합 건강캠프
  •  기사 이미지 무등산국립공원을 물들인 샛노란 봄빛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