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날은 더위에 지친 이들이 원기를 회복하려고 삼계탕 등 고기를 먹는 날이다. 하지만 고기 수요를 맞추기 위해 공급 현장은 기후위기, 환경파괴, 동물학대 등 상상을 훨씬 넘어서는 폐해로 얼룩진다.
학교급식도 기후 위기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다. 균형 잡힌 영양을 섭취한다면서 선택의 기회도 주지 않은 채 모든 학생, 교직원에게 육류나 육가공품 위주의 식단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광주시교육청은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월 1회 저탄소 식단의 날’을 전국 최초로 지정했고, 채식 급식 선택이 가능한 ‘실천학교 운영’을 위해 3개 학교 (고실중, 천곡중, 광주자동화설비고)에 예산을 편성키로 했다.
이와 더불어 시교육청은 채식이 왜 바람직한지 교육할 기회를 늘려 기후 위기에 대응할 필요성을 널리 알리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미래 세대의 생명권과 환경권을 지키기 위해 앞장서서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광주시교육청의 남다른 각오에도 불구, 일부 학교들은 ‘저탄소 식단의 날’에도 채식 식단을 운영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른 날에 비해 고기가 덜 들어갔다는 핑계만 둘러대며 기후 위기에 대응했다고 생색만 냈던 셈 이다.
(참고자료#1. 광주광역시 관내 일부 학교의 ‘저탄소 식단의 날’ 식단)
‘채식급식 시범학교’ 역시 학생들의 요구에 못 이겨 육식 위주의 식단을 운영했다. 무늬만 채식 급식일 뿐 실질적으로 다른 학교와 다를 것 없는 식단을 운영하면서 인건비, 재료비 등 예산 지원의 특혜만 누린 것이다.
(참고자료#2. 채식 급식 시범학교인 ㄱ고등학교의 ‘채식의 날’ 식단)
물론 탄소 배출량 절감 등 행정의 목표 달성을 위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학생들에게 채식을 강요하는 것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왜 채식을 해야 하는지 교육하고 합의하지 않아서 잔반이 많이 나오는 등 역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현재 학교 내 식생활 교육은 영양교사가 맡고 있다. 하지만 채식이 자리 잡기 위해 충분히 교육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업시수 등 여건이 부족한 상태이며, 수업권이 없는 영양사가 배치된 학교는 교육 기회마저 기대하기 힘든 현실이다.
창의적 체험활동 활용, 관련 교과수업 연계 등 통해 채식 관련 수업을 할 수 있지만, 학교마다 상황이 제각각이며,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여건(교재, 직무연수 등)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대안으로 환경‧먹거리 단체 전문가들이 간간이 채식 교육을 해오고 있지만, 외부 강사에 대한 불신이 깔려 있어 대부분 학교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이유 탓인지 광주시교육청은 채식 교육 공모사업을 중단했다.
한편, 울산시교육청은 2021년부터 ‘채식 선택 급식’제도를 운영하겠다고 발표했다. 채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다가 광주시교육청의 채식 급식이 모범사례로 알려지면서, 타시‧도에도 작은 변화가 있는 것이다.
이처럼 채식 급식은 교육청의 의지만 있다면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지만, 느슨한 지도 감독 탓에 일선 학교들은 실천을 차일피일 미루거나 꼼수로 식단을 운영하고 있어 점검이 필요하다.
이에 우리 단체는 「‘저탄소 식단의 날’ 전수조사」, 「‘채식급식 시범학교’ 컨설팅」, 「‘채식교육’ 의무화」 등을 광주시교육청에 촉구하는 바이며, 학교 구성원들이 채식 선택권을 보장받을 수 있는 적극적인 제도 마련을 요구하는 바이다.
2021. 7. 14.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기후행동 비건네트워크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06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