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주철현 국회의원, 김치산업 진흥위해 정부 업무 ‘일원화’ 시급 - 김치산업 업무, 세계김치연구소·aT·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으로 분산 - 효율적 예산·인력 운영위해 관련 업무 일원화한 전문기관 설립 필요
  • 기사등록 2021-03-24 14:08:07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주철현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여수시갑)이 국내‧외 김치산업의 진흥을 위해 분산된 정부 업무의 일원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주철현 의원은 지난 23일 국회 농해수위 소관 기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업무 보고에서 정부의 김치산업 관련 연구개발, 제조기술 교육, 수출 지원, 수급동향 파악 등 업무가 각각의 기관으로 흩어져 시너지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치 관련 R&D와 김치 문화 진흥 업무는 한국식품연구원의 부설기관인 ‘세계김치연구소’가, 김치 제조기술의 보급과 전수를 위한 교육훈련 기관 관리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김치의 수출 지원 사업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각각 수행하고 있다.

 

이어, 김치 원료의 수급 동향 파악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담당하고, 한식진흥원이 수행해온 김치 관련 사업들도 다른 기관들과 상당 부분 중복돼 있다. 심지어 ‘세계김치연구소’는 김치산업 주무 부처인 농식품부가 아니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기관으로 관련 업무의 유기적 연계가 요원한 상황이다.

 

주철현 의원은 “김치가 대표적인 전통식품이지만, 국내 시장에서조차 시장점유율이 70% 미만에 그치고, 무역수지도 2014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2천만 달러 이상의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며 “값싼 중국산 김치와의 가격경쟁력도 문제지만, 김치산업 진흥 업무가 여러 기관에 분산돼 정책의 일관성은 물론 예산과 인력 낭비를 초래하는 점도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중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주 의원은 “우리나라 김치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김치의 세계화를 촉진하기 위해 김치산업의 연구와 전문인력 양성 등의 생산단계부터 완제품인 김치의 홍보, 그리고 수출까지 산업진흥을 체계적으로 담당할 단일 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농식품부는 조만간 김치산업 관련 업무의 기관별 기능과 역할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일원화한 기관 설립 방안을 포함해 효율적인 김치산업 진흥 전략을 검토하기 위한 용역 연구를 발주할 예정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9888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금양,‘2024 부산 모빌리티쇼’통해 국내 최초 4695 원통형 배터리 장착 완성차 4륜구동 시연
  •  기사 이미지 해풍 머금은 ‘섬섬여수옥수수’ 제철 맞아
  •  기사 이미지 강진 보랏빛 코끼리마늘꽃 세상 놀러오세요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