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조사는 (재)한국학호남진흥원에서 실시하는 2020년도 ‘제1기 광주・전남 정신문화 르네상스 문화원 동행사업’에서 ‘문림의향(文林義鄕) 장흥지역 암각문 영상제작’과 ‘장흥의 암각문을 따라 걸으며 옛 선비들을 만나다’ 사업이 선정되면서 시작됐다. 지난 11월 12일부터 29일까지 4차에 걸쳐 현장조사를 마친 장흥암각문 조사단은 장흥읍, 관산읍, 대덕읍, 부산면, 용산면 관내의 암각문을 대상으로 실측, 탁본, 동영상 촬영을 추진했다.
현장조사에는 위황량(94세, 장흥문화원고문), 김기홍(전 장흥문화원장), 김일근(83세, 부산면) 청풍김씨문중원로, 김종관(79세,별신굿보존회장), 위종삼(72세, 장흥위씨장천문회총무), 위계춘(78세, 장흥위씨도문회장), 위수환(77세, 장흥위씨도문회) 등 장흥관내의 유지들이 자문했다.
해동암각문연구회 조사팀으로 홍순석 회장, 강양희 부회장, 임병목 부회장, 김윤환 사무국장, 최은철 연구원, 오준석 보조연구원이 참석했다. 장흥문화원 향토사연구팀으로 위성록(씨족문화연구소 연구위원), 위종만(장흥문화원 사무국장)이 참가했다.
이번 현장조사에서는 암각문 자료의 위치를 좌표로 기록하고 실측하였으며, 중요자료는 탁본을 하였다. 탁본된 자료는 15건이다. 부산면 호계리의 ‘겸순찰사한용구영세불방비’ 암각문 외 5건을 추가 탁본하여 2021년 5월중에 탁본전시회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이 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홍순석 교수는 장흥군 관내의 암각문 조사를 통해 장흥이 ‘문림의향(文林義鄕)’임을 재확인하는 부수적인 성과가 있었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 “장천팔경과 부춘정 관내의 암각문은 장흥지역 문사들의 학맥과 경승을 검증하는 자료가 되며, ‘각왜동(却倭洞)’, 사인정의 ‘제일강산(第一江山)’, 위원량의 ‘망곡서(望哭書)’ 등은 우국충정을 바위에 새긴 것으로 장흥이 의향(義鄕)임을 확실시하는 중요한 사료들이다.”고 설명하였다.
홍교수에 의하면, 천관산 구룡봉 정상의 바위에 새겨진 동방일사(東方一士) 송병선(宋秉璿)을 비롯한 17명의 제명기는 장흥을 비롯한 호남지역 문사들의 학맥과 사상을 살피는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송병선(1836~1905)은 대한제국기의 학자이자 순국지사이다.
자는 화옥(華玉), 호는 동방일사(東方一士), 연재(淵齋)이다. 우암 송시열의 9세손으로 1905년 을사조약을 반대하다가 울분을 토로하며 음독하여 순절하였다. 유서에서 을사오적 처형, 을사조약 파기 및 의(義)로써 궐기하여 국권을 회복할 것을 호소하였다.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이 당시 천관산 여정은 장천재 – 구룡봉 - 기죽봉 - 금수굴 – 장천재 – 여기정 – 동강 – 부춘정인데, 장흥 관내의 암각문에 자취가 그대로 남아 있다. 장흥문화원에서 2021년 3월에 실시할 예정인 「장흥의 암각문을 따라 걸으며 옛 선비들을 만나다」 사업은 이같은 사실에 기초한 것이다.
장흥문화원에서는 추진하는 장흥 암각문 조사 사업의 성과는 2021년 5월에 정식으로 보고서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며, 장흥관내의 역사문화자원과 기록유산을 발굴・정리하여 지역전통문화 보존‧계승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장흥암각문조사단은 1~4차 현장조사를 마치고,『장흥군 암각문 조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