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21년 일제강점기에 개교한 광주수창초의 이번 ‘교가 교체 사업’은 개교 100주년을 맞아 친일잔재 청산 및 올바른 역사관 확립을 위해 추진됐다.
광주수창초 교가는 그동안 친일인사의 작사·작곡, 일본 군가풍 및 일본식 음율·음계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다. 이에 따라 광주수창초 학생·학부모·교직원 등 전체 구성원들은 친일잔재 청산을 위한 교가 교체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해 왔다.
광주수창초는 교직원 자치회·학생 자치회뿐만 아니라 동문 게시판 등으로 꾸준히 자료수집·협의·의견수렴을 위해 노력해 왔다. 학교 교육과정 설문조사를 통해 ‘교가 교체’에 대한 찬성을 얻은 후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쳤고, 광주시교육청 ‘교육현장 친일잔재청산지원사업 대상학교’로 선정돼 ‘교가 교체’의 결실을 맺게 됐다.
광주수창초 새 교가는 노유섭 시인(광주수창초 40회 동문 출신)의 작사 및 전 남부대 신동민 교수의 작곡으로 만들어졌다. 새 교가에는 의향·민주의 광주 역사, 광주수창초 교육목표, ‘지나온 100년, 앞으로 100년’의 전통과 역사·인재상 등이 담겨있다.
광주수창초 6학년 이하예리 학생은 “우리 학교 교가를 부를 때 늘 행진곡 같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게 일본 군가풍 노래여서 그랬다는 것을 알게 돼 씁쓸했다”며 “일제 잔재에서 벗어난 새로운 교가가 생겨 다행이고, 이 교가를 내년 1월 우리 졸업식부터 공식적으로 부르게 돼 무척 기쁘다”고 말했다.
광주수창초 배창호 교장은 “광주수창초 동문 출신 시인이 작사에 참여해 더욱 의미 있는 교가를 올해 졸업식 행사에서 불러 학교 구성원으로서의 긍지 및 애교심을 높일 수 있도록 하겠다”며 “앞으로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를 통해 새 교가를 학교 교육공동체, 동문회, 지역사회에 널리 알릴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