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이면 찿아오는 안전사고 중 하나가 난방용 전열기구사용에 따른 안전사고 이다. 특히 사용량이 급증하는 12월과 2월사이에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다. 이에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전기장판 안전사용 수칙을 철처히 지키기를 당부한다.
농촌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농촌 노인들이 겨울을 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가 바로 [전기장판]이다. 특히 노인들은 전기장판의 안전사용법 숙지가 부족하기에. 화재 예방을 하려면 아래와 같은 수칙이 필요하다.
첫째, 전기장판 및 온열 기구는 사용하기 전에 꼭 점검해야 한다. 전선이나 온도 조절기 주위에 낀 먼지를 닦아 없앤 다음 피복이 벗겨진 곳이 없는지 확인하고 쓰도록 한다.
둘째, 외출하기 전에 전원을 끄고. 플러그를 뽑아 놓는다, 사용전 혹은 사용중에 매트에 물이 묻으면 반드시 말려서 사용해야 한다.
셋째, 전기장판은 돌돌 말아서 보관한다. 전기장판을 꾹꾹 눌러 접어 보관하면 화재 위험이 더 커진다고 한다. 이는 접힌 부분에 전기 회로가 단절되어 전류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넷째, 열을 잘 발산하지 못하는 라텍스 매트리스 등은 전기장판과 함께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
다섯째. 전기장판 코드 선 부분에 이불을 덮지 않아야 한다.
여섯째. 온열 기구는 반드시 안전인증을 받은 규격제품 사용하여야 한다.
겨울철에 주로 사용하는 전기난방용품인 전기장판, 전기온풍기, 전기난로 등 겨울철 사용량이 급증, 화재 위험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각 소방서에서는 겨울철을 맞이하여 범국민적인 화재예방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담양소방서도 “화재위험 3대 (전기히터,전기열선,화목일러) 겨울용품에 대한 화재예방 홍보를 통해 난방용품 안전사용 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또한 국민스스로 작은 부주의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올 겨울에는 한 건의 전열기구 사용으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