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구직자 10명 중 7명, 벤처 로켓 탑승할래! - ‘수평적인 조직문화’에 매력, 지원 시에는 ‘성장 가능성’ 높은 기업 고…
  • 기사등록 2019-06-04 08:24:58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김동국 기자]올해 1
분기 신설 법인수가 통계작성 이후 분기 최고치를 기록하고, 국내 유니콘 기업도 늘어나는 등 2벤처붐이 일고 있다. 과연 벤처붐이 구직자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이 구직자 827명을 대상으로 벤처기업 입사 의향을 조사한 결과, 10명 중 7(70.9%)이 있다고 밝혔다.

이들이 벤처기업 입사를 고려하는 이유는 ▲조직문화가 수평적일 것 같아서(38.2%
)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업무를 주도적으로 할 수 있을 것 같아서(32.8%) ▲취업 성공 확률이 높을 것 같아서(30.4%) ▲기업의 성장이 빠를 것 같아서(23%) ▲실력과 열정 있는 동료가 많을 것 같아서(21.8%) ▲처우가 대기업 못지 않은 곳도 있어서(18.3%) ▲이직을 위한 경력을 쌓기 위해서(15.9%) 등의 순이었다.

지원할 벤처기업을 선택하는 데 가장 중요한 조건은 ‘
성장 가능성’(30.9%, 복수응답) 1위로 꼽혔다. 일반적으로 취업 목표 설정 시 연봉이나 워라밸을 제일 중요시하는 경향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계속해서 연봉’(19.3%), ‘복리후생’(17.7%), ‘안정성’(10.1%), ‘조직문화’(8%) 등을 들었다.

지원 시 희망하는 연봉은 평균 2,925
만원으로 집계됐다.
구간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2400~2600만원 미만(17.6%)’, ‘2800~3000만원 미만’(14.8%), ‘3000~3200만원 미만’(12.3%), ‘2600~2800만원 미만’(10.6%), ‘2200~2400만원 미만’(7.3%), ‘3800~4000만원 미만’(6.5%), ‘2000~2200만원 미만’(6.5%) 등의 순이었다.

특히,
이들 중 절반이 넘는 구직자들(57.2%)은 최근 스타트업 창업 열풍이나 유니콘 기업 등을 보며 벤처기업 입사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벤처기업에 지원할 의사가 없는 구직자들(241)은 그 이유로기업의 안정성이 낮을 것 같아서’ (54.4%,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외에야근 등 업무가 많을 것 같아서’(37.3%), ‘연봉/복리후생 등 처우가 안 좋을 것 같아서’(26.1%), ‘대기업 등 목표가 따로 있어서’(10%) 등을 들었다.

그렇다면,
벤처기업에 지원해 본 구직자들은 얼마나 될까?
입사 의향 비율이 높은 것과는 다르게, 전체 응답자의 28.2%만이 실제로 지원한 경험이 있었다.

이들의 대부분인 98.3%
는 벤처기업에 입사할 때 어려움을 겪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보면 ‘기업정보 부족을 꼽은 비율이 60.9%(복수응답)로 가장 높았다. 이어서 후기 등 전형 정보 부족’(29.6%), ‘채용공고 내용 부실’(26.6%), ‘채용 기업이 적음’(23.2%), ‘채용과정이 비 체계적임’(21%), ‘지원 후 결과 확인 어려움’(20.2%) 등의 답변 순으로, 주로 정보의 부족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전체 구직자들은 벤처기업 입사가 늘어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연봉, 복리후생 수준 제고’(53.4%, 복수응답), ‘기업 및 채용 관련 정보 확충’(38.1%), ‘체계적인 채용 프로세스 확립’(24.2%), ‘정부의 벤처 지원 확대’(19.8%), ‘구직자에 대한 인사 담당자의 성실한 대응’(19.6%), ‘사회적인 인식 변화’(17.5%), ‘벤처기업 입사자에 대한 정부 차원의 혜택 강화’(16.1%) 등을 꼽았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5505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강진 보랏빛 코끼리마늘꽃 세상 놀러오세요
  •  기사 이미지 ‘2024 부산모빌리티쇼’ 부산국제모터쇼의 새로운 시작이 되다.
  •  기사 이미지 서구 오연호 오마이뉴스 대표 초청 아카데미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