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3월 연근해어업 생산량 4만 7천 톤, 전년 3월보다 13% 감소 - 오징어 · 삼치 등은 생산량 증가, 고등어 · 갈치는 생산량 감소
  • 기사등록 2019-05-03 13:45:35
기사수정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19년 3월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지난해 3월에 비해 13% 감소했다고 밝혔다.

 

통계청이 발표한 어업생산통계에 따르면, 올해 3월 연근해어업 생산 량은 4만 7천 톤으로 지난해 3월(5만 4천 톤)에 비해 약 13% 감소했 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멸치 6,790톤, 청어 2,768톤, 가자미류 2,511톤, 고등어 1,795톤, 갈치 1,599톤, 오징어 1,264톤 등이다.

 

주요 어종별 증감 추이를 살펴보면, 오징어(483%↑), 삼치(49%↑), 가자미류(20%↑) 등의 생산량이 전년보다 증가하였고, 멸치, 붉은대게 , 참조기, 청어는 전년 수준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등어(84%↓), 갈치(51%↓)는 전년보다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오징어는 최근 대마난류 세력 강화에 따른 연근해 고수온(평년대비 1.0~3.0℃ ↑ ) 분포의 영향으로 어기가 지속되면서, 제주주변해역~동해 전역 에 걸쳐 어장이 형성되어 근해채낚기, 대형트롤, 정치망 등에서 어획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삼치 또한 제주주변 및 남해 수온이 평년보다 높게(평년대비 0.5~1.5℃) 형성되어 월동을 위해 남하하는 어군이 줄어들면서, 제주주 변해역 에서의 어군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형선망과 쌍끌이어업에서 어획량이 크게 증가했다.

 

반면 고등어는 지난해 어획량이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번 어기( 2018. 7. 1.~2019. 6. 30.) 총허용어획량 (TAC) 할당량이 대부분 소진되면서 어획량이 감소하였다.

 

갈치는 주어장인 서해남부 및 제주 서부해역 의 수온이 평년보다 낮아 지 면서 (0.5~2.0℃↓) 어군이 북부 동중국해 전역으로 분산되어 대형선망 어업의 어획량이 전년보다 크게 감소하였다.

 

한편, 2019년 3월 연근해어업 생산금액은 전년 수준(2,327억 원)인 2,365억 원으로 집계되었다.

 

주요 어종별 생산금액은 오징어(101억)가 전년보다 500%, 붉은대게(130억)가 72% 증가한 반면, 멸치(88억)는 44%, 고등어(38억)는 59%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일환 해양수산부 어업정책과장은 “2월까지 어획량 증가 추세가 이 어지다 3월에는 고등어, 갈치 등의 어획 부진으로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라며, “적 극적인 자원관리로 양적 증가뿐만 아니라 질적 향상을 통해 어업인의 소득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5301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강진 보랏빛 코끼리마늘꽃 세상 놀러오세요
  •  기사 이미지 ‘2024 부산모빌리티쇼’ 부산국제모터쇼의 새로운 시작이 되다.
  •  기사 이미지 서구 오연호 오마이뉴스 대표 초청 아카데미
pt>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