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업, “승진누락자 과장급 최다”
  • 기사등록 2019-01-31 09:51:01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김동국 기자]직장인에게 연말연초는 인사고과에 따른 승진 여부가 결정되는 시기로 매년 희비가 엇갈린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이 기업 349개사를 대상으로 ‘승진누락자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기업 10곳 중 4곳에서는 ‘승진누락자’가 발생하고 있었다.

승진누락자 발생비율은 중견기업이 66%로 가장 높았고, 대기업 56.3%, 중소기업 32.9%로 기업형태별로 차이를 보였다.  

승진누락자가 가장 많은 직급은 ‘과장급’(31.9%)이었다. 이어 ‘차장급’(22.2%), ‘대리급’(20%), ‘사원급’(13.3%)순이었으며, ‘부장급 이상’(12.6%)이 가장 낮았다. 부장급 이상은 대상자 자체가 적기도 하고 다음 직급으로의 승진보다는 퇴직하는 경우가 많은 직급이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승진누락자가 발생하는 이유는 ‘업무 능력이 떨어져서’(49.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승진 인원은 한정되어 있어서’(38.5%), ‘회사 재무 사정이 좋지 않아 인건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17.8%), ‘고위 직급이 너무 많아 조정이 필요해서’(14.8%), '상사 및 동료와의 관계가 좋지 않아서'(13.3%) 등의 이유가 뒤를 이었다.

경기불황으로 경영환경이 좋지 않은데다 정년 연장으로 고연차 인력이 증가하는 것에 대해 기업들이 부담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분석된다.

평균적으로 전체 승진대상자 중 26%정도 승진 누락자가 발생하고 있었고,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승진누락자 비율에는 ‘큰 변화 없다’(60%)가 대부분이었지만, ‘비율이 늘었다’(30.4%)가 ‘비율이 줄었다’(9.6%)보다 3배 이상 많았다.

그렇다면 ‘승진누락자’에 대한 회사의 평가는 어떠할까.

승진누락자가 있는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이들에 대해 ‘업무 능력 부족(무능력)’(49.6%, 복수응답)으로 평가했다. 계속해서 ‘일에 대한 의욕 부족(무기력)’(36.3%), ‘피라미드 조직 구조상 어쩔 수 없음’(31.1%), ‘리더십 부재’(30.4%), ‘팀워크 부족’(14.8%) 등으로 보고 있었다.

승진누락자의 불만으로 인해 회사에 피해를 입은 사례가 있다는 응답은 66.7%였다. 가장 큰 영향은 ‘회사 분위기 흐림’(58.9%)이었다. ‘퇴사’(50%), ‘회사에 대한 안 좋은 소문’(41.1%), ‘핵심기술, 영업비밀 등 누출’(26.7%) 등의 사례도 있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4586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해풍 머금은 ‘섬섬여수옥수수’ 제철 맞아
  •  기사 이미지 강진 보랏빛 코끼리마늘꽃 세상 놀러오세요
  •  기사 이미지 ‘2024 부산모빌리티쇼’ 부산국제모터쇼의 새로운 시작이 되다.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