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스마트공장 기업의 미래를 바꾸다 - 중기부 스마트공장을 통해 중소기업 혁신성장 선도
  • 기사등록 2018-05-18 13:15:27
기사수정
중소벤처기업부 홍종학 장관은 5.17(목) 오후 2시 관계부처 합동으로 개최한 ‘2018 혁신성장 보고대회’에 참석하였다.

혁신성장 보고대회는 지난 ‘17.11월 개최한 ’혁신성장 전략회의‘ 후속으로 개최하게 되었으며, 행사에서는 스마트공장 등 3개의 혁신성장 선도사업 우수기업들의 사례 발표(스마트공장, 스마트시티,  스마트팜)가 있었다.

특히, 이날 행사에서 (주)코렌스 조용국 회장은 CPS*를 도입한 스마트공장 구축 사례를 발표하면서, 가상 시스템과 실제 공장을 비교․설명하는 시현을 실시하였다.

* CPS(Cyber-Physical system) : 사이버 시스템과 물리 시스템이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밀접하게 연결하는 컴퓨터 기반 장치로서 스마트 그리드, 자율주행 자동차, 공정제어 시스템, 로봇 시스템 등에 활용

조용국 회장은 폭스바겐 배기가스 조작 사건(‘15.9월)으로 신규수주가 절반으로 떨어지는 위기 상황을 맞닥뜨렸을 때,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극복할 수 있었다고 말하면서, 스마트공장 구축 전후(‘15년, ’18년 비교)를 비교할 경우 상당한 수준의 불량률 감소*, 연평균 45억원 원가절감, 16% 생산성 향상을 경험했음을 밝혔다.

* 생산 불량률(ppm) 30,000 → 500, 납품후 불량률(ppm) 120 → 5

아울러, 높아진 생산성․낮아진 불량률 등 스마트공장 구축 성과를 기반으로 ‘15년, ’18년 비교시 청년일자리가 143명에서 204명, 연구직은 42명에서 132명으로 증가하였다면서, 앞으로도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정부의 일자리와 소득주도 성장, 혁신성장 정책에 보답할 것을 다짐하였다.

(주)코렌스(‘18.4월 이후 중견기업) : 자동차 배기가스 저감장치(EGR), 열관리 시스템 전문기업

(주)유디엠텍이 개발한 ‘가상현실 사이버 물리시스템(VR CPS)’를 최초 도입

* VR CPS(Virtual Reality Cyber-Physical system) : CPS를 활용하여 현장의 물리적 상황이 사이버 상에서 동일하게 작동하도록 시각화(구현)한 시스템

(주)유디엠텍(중소기업) : 스마트공장 공급기업으로서 국내 스마트공장 저변확대 기반과 정부 R&D 지원에 힘입어 수입에만 의존하던 핵심기술인 CPS을 국내 최초(세계 3번째)로 개발․상용화에 성공

홍종학 장관은 이어진 집담회에서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중소기업이 일자리와 소득주도 성장, 혁신성장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고 하면서, 스마트공장 구축 이후 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을 실현하고, 고용을 창출하는 기업들이 실제로 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 구축효과(‘14~’16, 2,800개사) : 생산성 30%↑, 불량률 45%↓, 원가 15%↓, 납기 16%↓, 매출액 20%↑, 영업이익 53%↑, 고용 2.2명↑

아울러,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모멘텀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하면서, 앞으로는 정부주도의 뿌려주기식 지원을 탈피하고, 민간의 창의성과 다양성을 발현시킬 수 있도록 민간 그리고 지역이 중심이 된 지원방식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대․중소기업이 협력하면 정부가 후원하는 상생형 모델을 도입하고, 지역별로 스마트공장 추진협의체를 구성하여 지역별 실정에 맞게 사업을 추진하며,

데이터 분석을 통해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이 많이 참여했던 분야를 묶음으로 지원하여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의 혁신역량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홍 장관은 현재 지구촌은 혁신생태계 경쟁을 하고 있고, 우리도 ‘중소기업 중심 경제구조’로 가기 위해서는 기술기업과 기존 대기업이 상호 협력하여 혁신을 이뤄내는 개방형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주)코렌스가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해 올 1월 RTX를 M&A한 사례를 언급하면서, 동 사례는 혁신성장 여력이 증가한 기업이 M&A를 통한 개방형 혁신을 실천한 모범사례이고, 이와 같은 개방형 혁신 성공사례가 다른 기업으로도 확산되어 ‘중소기업 중심 경제구조’의 초석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2826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해풍 머금은 ‘섬섬여수옥수수’ 제철 맞아
  •  기사 이미지 강진 보랏빛 코끼리마늘꽃 세상 놀러오세요
  •  기사 이미지 ‘2024 부산모빌리티쇼’ 부산국제모터쇼의 새로운 시작이 되다.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