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탄소 농업이란? - 농업 칼럼니스트 농학박사 허북구
  • 기사등록 2022-01-14 09:33:43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전 세계 땅의 절반이 식량 재배를 위한 농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농지는 기후 변화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21-37%를 생산한다. 


농지가 온실가스의 주요 배출원이 된 것은 대기보다 3배 정도 많은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토양 중의 이산화탄소를 대기 중으로 내보내고 있는 것과 함께 자연의 순환을 무시한 농법과 고밀도 입식의 가축 사육 등에 의해 온실가스 배출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화된 현재의 주요 농업은 경운을 통해 탄소를 대기 중으로 내보는 것을 촉진하고, 수확한 작물을 통해서도 토양 중의 탄소를 빼앗고 있다. 


트랙터의 사용, 밀집된 공간에서 과도한 가축 사육, 산림 개간, 유기합성농약의 과대 사용 등도 온실가스 배출을 촉진하고 수원을 오염시키고 있다. 그런데도 생산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더 많은 기계, 더 많은 비료, 더 많은 농약을 사용함에 따라 흙은 죽어가 한계에 이르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은 더욱 많아지고 있다. 

 

농업(축산엄 포함)은 굴뚝에서 시커먼 매연을 내뿜지도 않으며, 중금속과 화학약품 투성이의 폐수로 강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평화로운 모습을 하고 있으나 온실가스 배출의 1/3을 차지하는 산업으로 된지 오래되었다.

 

온실가스의 주요 배출원이 된 농업의 기본은 식물의 광합성에서 비롯된다. 식물은 광합성이라는 작용을 통해 태양 에너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토양의 물 및 미네랄을 결합하여 탄수화물을 만들고, 식물체와 주변의 토양을 기름지게 만든다.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식물로 이동시켜서 식품, 사료, 연료 및 섬유와 같은 농산물로 변환한다.

 

농업에서 탄소는 농업과 생물학적 시스템의 핵심 에너지로 중요한 자원이지만 관행의 농업에서는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탄소를 탈취만 하고 대기 중으로 배출만 하고 땅으로 되돌리는 데는 상당히 소홀히 하고 있다.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이러한 농업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탄소 배출을 줄이고,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탄소를 토양에 격리하고 저장하는 농업인 탄소 농업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탄소 농업은 대기 중의 탄소를 토양과 작물 뿌리, 나무 등에 격리하고, 땅으로 되돌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농업 방법에 관한 명칭이다. 탄소 농업의 목표는 대기에서 탄소의 순손실을 만드는 것으로 탄소가 토양과 식물 재료로 격리되는 속도를 높이는 것이다. 

 

탄소 농업의 실행 방법은 다양하다. 작물의 경작에서는 식물의 식재, 재배, 수확의 과정에서 토양의 파괴를 최소화한다. 경운을 줄이거나 중단을 통해 표토의 토양 탄소 농도를 증가시킨다. 작물의 재배는 윤작을 통해서 생태 복원력을 높이고, 농약과 화학비료는 정밀농업을 통해 필요한 부분에만 사용하는 것에 의해 사용량을 줄인다. 작물을 수확한 후에 부산물은 제거하거나 태우는 대신 경작지에 멀칭 재료로 이용하여 토양의 수분 보존력을 높이고, 분해될 때 토양으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한다. 

 

토양 유래의 유기체는 바이오숯으로 만들어 토양에 넣어 탄소를 땅으로 되돌린다. 이 방법은 재료에 따라 발암성 화합물로 인한 토양 오염 가능성이 있으나 유기체에 함유된 탄소의 50% 가량을 토양으로 되돌릴 수 있고, 탄소 격리를 쉽게 검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가축은 온실가스의 순 생산자이므로 메탄 등 배출이 적은 가축의 육성과 사료 급여, 토지당 사육 두수의 밀도를 낮추고, 방목지에는 수목과 다년생 식물을 늘린다. 

 

탄소 농업은 이와같이 여러 가지 농법에 의해 탄소 배출을 상쇄하는 것 외에도 많은 이점이 있다. 황폐화된 토양을 복원하고 작물 생산을 향상시키며, 침식과 영양분 유출을 최소화하고 지표수와 지하수를 정화하며 미생물 활동과 토양 생물다양성을 증가시켜 오염을 줄이는 이점 등이 있다. 

 

결과적으로 탄소 농업은 좋은 토양을 만들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며, 이산화탄소를 격리하면서 더 적은 오염으로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며, 탄소 농업이 크게 규모화되면 기후 변화를 완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가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농업이다.

 

참고 자료

https://en.wikipedia.org/wiki/Carbon_farming(Carbon farming)

https://www.greenamerica.org/food-climate/what-carbon-farming(What is Carbon Farming?)

https://ec.europa.eu/clima/eu-action/forests-and-agriculture/sustainable-carbon-cycles/carbon-farming_en(Carbon Farming - European Union)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jnnews.co.kr/news/view.php?idx=31840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지리산국립공원, 천연기념물 화엄사 화엄매 만개
  •  기사 이미지 백양사 고불매 선홍빛 꽃망울 터트려, 만개 임박!
  •  기사 이미지 눈부신 구례 산수화
전남오픈마켓 메인 왼쪽 2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